본문 바로가기

학점은행제/학습자료실

우석원격평생교육원 : 뒤르껭(Durkheim)의 사상과 베버(Weber)의 사상비교

우석원격평생교육원 : 뒤르껭(Durkheim)의 사상과 베버(Weber)의 사상

 

 

 

안녕하세요! 학점은행제 학습플래너 느낌이예요

오늘의 학습주제는, 뒤르껭(Durkheim)의 사상과 베버(Weber)의 사상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뒤르껨은 기능주의 이론의 가장 대표적인 학자중의 한 사람으로, 그 시대의 사회학자들 가운데에서도 교육에 관한 관심이 가장 많았던 사람이다. 그는 사람은 비사회적 존재로 태어나므로 이를 사회적 존재로 길러야하는데, 교육이 바로 이 기능을 수행한다 하여, 교육을 사회화와 동일시하였다.

 

막스베버의 주된 관심은 특정개인이 자신의 행위에 부여하는 주관적 의미에 높여있었다. 그는 인간의 행위를 목적 합리적 행위, 가치지향적 행위, 정서적 행위, 전통적 행위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근대화가 진행될 수록 인간의 행위는 의도적이며 목적지향적인 합리적 행위인 목적 합리적 행위가 늘어난다고 주장하였다.

 

 

 

뒤르껭(Durkheim)의 사상과 베버(Weber)의 사상 유사점과 차이점

 

 

▣유사점

 

- 종교 현상이 사회현상과 중요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공유한다.

 

① 베버 : 기독교 윤리가 자본주의 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자연스런 길을 마련했다는 점을 들면서 종교는 사회질서를 정당화 한다는 의미로 봄.

② 뒤르껭 : 응집력 이라는 현상을 들어 종교 자체가 사회의 초석이 된다고 봄.

 

 

차이점

 

- 접근 방법 차이

 

① 베버 : 추상적인 믿음 체계의 지적인 내용에 더 강조점

② 뒤르껭 : 본능적으로 체화된 감정적 측면 강조

 

- 종교 역할에 대한 입장 차이

① 베버 : 탈주술화의 테제, 모더니티가 발흥하면서부터 이 세계에서 의미가 사라지게 되었

다는 것을 역설, 우리는 관료주의 시대에 살고 있는데 관료주의는 초월이나 궁극적 의미를

추구하기 보다 효율성과 합리성을 강조.

베버 용어로 표현하면 목적 합리적 행위가 가치 합리적 행위를 대체해 옴.

삶은 지향점을 상실하고 사람들은 의미 없는 관료주의와 합리주의의 우리속에 갇혀버림.

② 뒤르껭 : 도덕적 결속, 신성한 목표가 오늘날 세계에서 절대적으로 중요.

 

 뒤르껭(Durkheim)의 사상과 베버(Weber)의 사상 정리

 

[학점은행 과정 상담 요청 및 학습주제 공유 요청 아래를 클릭해주세요]